한 줄 요약
1970년 1월 1일 국제 표준시 UTC부터의 경과시간을 초로 환산하여 정수로 나타낸 것이다.

 

1970년대 벨 연구소에서 탄생한 유닉스(UNIX)에서 사용한 컴퓨터 시간 표현방법이다. 보통은 유닉스 시간 또는 유닉스 타임스탬프(Unix timestamp)라고 부르지만 또 다른 이명으로는 POSIX TimeEpoch Time가 있다. 현재 많은 컴퓨터 운영체제어서 사용 중인 표기 방법이다.

 

재밌는 사실은 유닉스 시간은 32비트로 표현이 되어서 2038년 1월 19일  03:14:08 UTC에 범위를 초과하여 1901년으로 가리키는 현상이 발생한다. 해당 문제는 64비트 형식으로 변경할 경우 3000억 년 정도 연기를 시킬 수 있기에 큰 문제는 되지 않을 것이다.

유닉스 시간을 보고 싶다면 아래 사이트에서 볼 수 있다.

Unix Time Stamp - Epoch Converter

 

Unix Time Stamp - Epoch Converter

Epoch and unix timestamp converter for developers. Date and time function syntax reference for various programming languages.

www.unixtimestamp.com

 

자료출처

What is Unix Time? | Epoch101.com

유닉스 시간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(wikipedia.org)

타임스탬프(TimeStamp)와 Epoch Time의 유래 : 네이버 블로그 (naver.com)

 

'간단용어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오버헤드란?  (0) 2022.11.01

여기서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과학에서의 오버헤드에 대해서 이야기한다.

 

오버헤드란 처리를 위해 '간접적인 처리 시간 & 메모리'를 의미한다. 

 

예시)

마트에서 일을 하는데 주 업무는 배달 온 물건들을 옮기는 일이다. 배달 온 물건이 하나씩 들어올 때도 있지만 많게는 1000개도 들어올 수 있으며 그럴 경우에는 물건을 하나씩 옮길 경우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린다. 하지만 끌차를 이용하면 물건을 하나씩 옮기는 경우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일을 할 수 있다.

 

예시를 기준으로 오버헤드라는 용어를 풀어보자면 처리는 배달온 물건을 옮기는 일이다.

그렇다면 여기에서 오버헤드는 배달 온 물건을 옮기는 일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끌차를 추가하여 일을 수행한 것이다.

 

위의 예시를 기준으로 오버헤드를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자.

예를 들어 물건 하나를 옮기는데 5초라는 시간이 걸린다. 그런데 끌차를 도입하고 난 시간이 10초가 되었다. 이때 오버헤드는 5초이다. 하지만 여기서 작업 방법을 개선하여 끌차 작업시간을 7초로 줄인다면 오버헤드가 3초 단축되었다고 표현한다.

 

단순하게 시간으로만 보면 끌차를 추가하지 않는것이 더 좋아 보이지만 반복적인 행동수가 줄어들어 좋아진 거도 있다. 하지만 끌차를 또 관리해줘야 하기 때문에 무조건 좋아졌다고 하기에도 애매하다. 그렇기에 필요한 조금 더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서 기능을 덧붙여햐 할지 붙였다면 오버헤드를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도 생각을 해봐야 할 것이다.

'간단용어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유닉스 시간이란?  (0) 2022.11.08

+ Recent posts